작업실유령 발행
양장본
172쪽
95*160mm
ISBN : 9791189356699
오늘날 스트리밍 환경에 최적화된 도구, 플레이리스트에 주목하여 동시대 음악 감상 행위를 관찰하는 『플레이리스트』가 출간되었다. ‘음악 듣는 몸’이라는 부제에서 드러나듯 이 책은 그동안 음악 예술 담론에서 중심을 차지했던 음악 작품을 잠시 옆으로 밀쳐 두고 음악을 듣는 감상자의 경험을 논의의 한가운데로 불러온다. 음악이라는 비물질적 세계에서 과연 사람들은 플레이리스트를 통해 어떠한 감각을 누리고 있으며, 그것이 지닌 함의는 무엇일까.
플레이리스트라는 소리 세계
누군가 선곡한 곡들의 모음이라는 뜻에서 플레이리스트의 역사는 길다. 그러나 그것이 만들어지고, 유통되고, 소비되는 양상에서 현재의 플레이리스트는 과거의 그것과 전혀 다른 존재다. 오늘날의 음원 플랫폼들은 우리가 알기도 전에 우리가 좋아하는 음악을 알고, 광활한 음악의 바다에서 실패 확률이 적은 선택지를 제공하며, 그때그때의 기분과 분위기에 맞춰 가볍게 ‘둘러 입을’ 음악을 간편히 제공한다. 우리는 그저 ‘좋아요’ 혹은 ‘싫어요’를 누르며 우리의 취향을(달리 말하면 돈이 되는 정보를) 알려 주기만 하면 된다. 가령 당신이 지금 불안한 상태라면 굳이 선곡하는 수고를 들일 필요 없이, ‘불안감을 떨쳐 주는 신나는 노래’라는 제목의 플레이리스트를 클릭하고 흘러나오는 음악에 몸을 맡기면 된다. 사실 그 플레이리스트가 어떤 곡으로 채워져 있는지는 거의 중요하지 않다.
한편, 이러한 기술/매체 의존적 환경에서 플레이리스트는 뜻밖의 가능성을 내비치기도 한다. 매일매일 무수히 창작되는 콘텐츠 속에서 개인의 취향과 관점을 보다 정교하게 가다듬을 기회를 제공하며, 권위와 질서가 아닌 공유와 정동의 언어로 이뤄진 취향의 공동체를 통해 다른 이들과 함께 즐거움을 누릴 수 있으며, 나아가 획일화된 음악 시장에서 다양성이 서식할 자리를 마련할 수도 있다. 저자는 플레이리스트를 둘러싼 음악 감상 행위에 존재하는 긍정적인 면과 부정적인 면, 기회와 위험을 모두 직시하되 보다 넓은 의미에서 플레이리스트라는 문화 현상이 어떤 방식으로 표출하는지 살핀다. 유튜브 플레이리스트 채널에 직접 참여하여 채널 운영 방식과 사용자들의 반응을 관찰하고 애플 뮤직, 스포티파이, 멜론 등 여러 음원 플랫폼을 이용하는 사람들을 만나 그들의 일상적인 음악 경험에 대해 이야기를 나눈다.
이 자료들을 바탕으로 저자는 미학, 음악 사회학, 매체 이론, 현상학을 경유해 음악 감상 행위를 해독하고, 매체의 역할을 재고하는 한편, 감상자의 감각 경험과 반응, 테크놀로지와 인식이 맺는 관계를 좇는다. 무엇보다도 저자는 체현된 신체로서 우리의 ‘몸’에 주목하며 여러 감각이 혼합된 새로운 차원의 ‘촉각적’ 몰입으로서 “음악 감상이 하나의 음악 작품, 그 작품이 연주 및 재생되는 다양한 조건, 청자의 능동성이 만들어 내는 하나의 ‘사건’”이라는 점을 강조한다.
둘러 입는 음악, 그 너머
저자는 음악이 “점점 감정과 느낌, 정서, 분위기, 촉각을 자극하는 무언가로 그 모습과 개념을 바꾸고 있다”고 지적하며 “음악의 이러한 변화에 따라 감상자들은 음악 감상 행위를 마치 어떤 ‘상태’나 ‘기분’이라는 외투를 둘러 입듯 그렇게 여기며 즐기게 됐다”고 말한다. 능동성과 수동성을 함께 지닌 플레이리스트는 우리의 일상을 점점 더 많은 정보와 소리에 내어 줄 것을 요청한다.
이러한 현실 앞에서 저자는 질문을 던진다. “현대적 의미의 음악 감상이란 그저 데이터베이스처럼 쌓여 있는 것들을 똑같이 반복하는 행위에 지나지 않는가? 작곡가 한 명이 특정 방식으로 써낸 음악 작품은 과연 절대적인가? 음악 평론이란 지금 이대로의 방식 그대로 유효한가? 오늘날의 감상자들은 아무것도 손에 잡히지 않는 음악이라는 비물질적 세계에서 어떠한 감각을 누리고 싶어 할까? 상품으로서 음악의 단위는 어떻게 변화되어 가고 있는가? 현대 음악 산업은 무엇을 보고 듣고 고려하고 있을까? 그리고 너무 원론적이라 다소 무의미하게 느껴지는, 현대적 의미에서 음악이란 무엇일까.”
‘플레이리스트’는 이러한 질문을 바라볼 하나의 렌즈이자, 음악 분야를 넘어 현재의 기술/매체 환경이 우리와 맺는 관계를 조망할 하나의 열쇠를 제공할 수 있다. 영화를 비롯한 온라인 동영상 콘텐츠는 물론 패션, 음식 등 모든 일상 영역에서 우리는 플레이리스트와 맞닥뜨린다. 이는 우리의 지각 경험을 재구성하고, 나아가 플레이리스트를 구성하는 내용 자체를 변화시킨다. 우리가 경험하는 소리 세계, 나아가 지각 세계에 수동적으로 침묵하는 대신 그 과정을 의식적으로 지켜볼 필요가 있다.
목차
서문: 「베이비 드라이버」에 대한 단상, 그 일렁임
플레이리스트 문화의 탄생
플레이리스트라는 소리 세계
플레이리스트가 만드는 일상적 음악 경험의 변화
가상 세계와 현실 세계를 오가는 주체
가만히 듣기만 하는 예의 바른 존재, 감상자
미디어의 음악적 관여
감상자의 몸
둘러 입는 음악
참고 문헌
찾아보기
저자 소개
김호경
듣고, 쓴다. 음악을 위한 글을 쓴다. 클래식 음악 전문 기자로 일하며 다수의 매체에 글을 썼고, 연세대학교 커뮤니케이션대학원에서 미디어를 통해 음악을 경험하는 사람들을 연구했다. 현대 감상 환경에서의 클래식 음악 세계를 그린 에세이 『아무튼, 클래식』을 썼다. 김윤아 「나인 너에게」, 투모로우바이투게더(TXT) 「Your Light」, 하성운 「Think of You」, 승희(오마이걸) 「Dear My Nights」 등의 가사를 썼다.
오늘날 스트리밍 환경에 최적화된 도구, 플레이리스트에 주목하여 동시대 음악 감상 행위를 관찰하는 『플레이리스트』가 출간되었다. ‘음악 듣는 몸’이라는 부제에서 드러나듯 이 책은 그동안 음악 예술 담론에서 중심을 차지했던 음악 작품을 잠시 옆으로 밀쳐 두고 음악을 듣는 감상자의 경험을 논의의 한가운데로 불러온다. 음악이라는 비물질적 세계에서 과연 사람들은 플레이리스트를 통해 어떠한 감각을 누리고 있으며, 그것이 지닌 함의는 무엇일까.
플레이리스트라는 소리 세계
누군가 선곡한 곡들의 모음이라는 뜻에서 플레이리스트의 역사는 길다. 그러나 그것이 만들어지고, 유통되고, 소비되는 양상에서 현재의 플레이리스트는 과거의 그것과 전혀 다른 존재다. 오늘날의 음원 플랫폼들은 우리가 알기도 전에 우리가 좋아하는 음악을 알고, 광활한 음악의 바다에서 실패 확률이 적은 선택지를 제공하며, 그때그때의 기분과 분위기에 맞춰 가볍게 ‘둘러 입을’ 음악을 간편히 제공한다. 우리는 그저 ‘좋아요’ 혹은 ‘싫어요’를 누르며 우리의 취향을(달리 말하면 돈이 되는 정보를) 알려 주기만 하면 된다. 가령 당신이 지금 불안한 상태라면 굳이 선곡하는 수고를 들일 필요 없이, ‘불안감을 떨쳐 주는 신나는 노래’라는 제목의 플레이리스트를 클릭하고 흘러나오는 음악에 몸을 맡기면 된다. 사실 그 플레이리스트가 어떤 곡으로 채워져 있는지는 거의 중요하지 않다.
한편, 이러한 기술/매체 의존적 환경에서 플레이리스트는 뜻밖의 가능성을 내비치기도 한다. 매일매일 무수히 창작되는 콘텐츠 속에서 개인의 취향과 관점을 보다 정교하게 가다듬을 기회를 제공하며, 권위와 질서가 아닌 공유와 정동의 언어로 이뤄진 취향의 공동체를 통해 다른 이들과 함께 즐거움을 누릴 수 있으며, 나아가 획일화된 음악 시장에서 다양성이 서식할 자리를 마련할 수도 있다. 저자는 플레이리스트를 둘러싼 음악 감상 행위에 존재하는 긍정적인 면과 부정적인 면, 기회와 위험을 모두 직시하되 보다 넓은 의미에서 플레이리스트라는 문화 현상이 어떤 방식으로 표출하는지 살핀다. 유튜브 플레이리스트 채널에 직접 참여하여 채널 운영 방식과 사용자들의 반응을 관찰하고 애플 뮤직, 스포티파이, 멜론 등 여러 음원 플랫폼을 이용하는 사람들을 만나 그들의 일상적인 음악 경험에 대해 이야기를 나눈다.
이 자료들을 바탕으로 저자는 미학, 음악 사회학, 매체 이론, 현상학을 경유해 음악 감상 행위를 해독하고, 매체의 역할을 재고하는 한편, 감상자의 감각 경험과 반응, 테크놀로지와 인식이 맺는 관계를 좇는다. 무엇보다도 저자는 체현된 신체로서 우리의 ‘몸’에 주목하며 여러 감각이 혼합된 새로운 차원의 ‘촉각적’ 몰입으로서 “음악 감상이 하나의 음악 작품, 그 작품이 연주 및 재생되는 다양한 조건, 청자의 능동성이 만들어 내는 하나의 ‘사건’”이라는 점을 강조한다.
둘러 입는 음악, 그 너머
저자는 음악이 “점점 감정과 느낌, 정서, 분위기, 촉각을 자극하는 무언가로 그 모습과 개념을 바꾸고 있다”고 지적하며 “음악의 이러한 변화에 따라 감상자들은 음악 감상 행위를 마치 어떤 ‘상태’나 ‘기분’이라는 외투를 둘러 입듯 그렇게 여기며 즐기게 됐다”고 말한다. 능동성과 수동성을 함께 지닌 플레이리스트는 우리의 일상을 점점 더 많은 정보와 소리에 내어 줄 것을 요청한다.
이러한 현실 앞에서 저자는 질문을 던진다. “현대적 의미의 음악 감상이란 그저 데이터베이스처럼 쌓여 있는 것들을 똑같이 반복하는 행위에 지나지 않는가? 작곡가 한 명이 특정 방식으로 써낸 음악 작품은 과연 절대적인가? 음악 평론이란 지금 이대로의 방식 그대로 유효한가? 오늘날의 감상자들은 아무것도 손에 잡히지 않는 음악이라는 비물질적 세계에서 어떠한 감각을 누리고 싶어 할까? 상품으로서 음악의 단위는 어떻게 변화되어 가고 있는가? 현대 음악 산업은 무엇을 보고 듣고 고려하고 있을까? 그리고 너무 원론적이라 다소 무의미하게 느껴지는, 현대적 의미에서 음악이란 무엇일까.”
‘플레이리스트’는 이러한 질문을 바라볼 하나의 렌즈이자, 음악 분야를 넘어 현재의 기술/매체 환경이 우리와 맺는 관계를 조망할 하나의 열쇠를 제공할 수 있다. 영화를 비롯한 온라인 동영상 콘텐츠는 물론 패션, 음식 등 모든 일상 영역에서 우리는 플레이리스트와 맞닥뜨린다. 이는 우리의 지각 경험을 재구성하고, 나아가 플레이리스트를 구성하는 내용 자체를 변화시킨다. 우리가 경험하는 소리 세계, 나아가 지각 세계에 수동적으로 침묵하는 대신 그 과정을 의식적으로 지켜볼 필요가 있다.
목차
서문: 「베이비 드라이버」에 대한 단상, 그 일렁임
플레이리스트 문화의 탄생
플레이리스트라는 소리 세계
플레이리스트가 만드는 일상적 음악 경험의 변화
가상 세계와 현실 세계를 오가는 주체
가만히 듣기만 하는 예의 바른 존재, 감상자
미디어의 음악적 관여
감상자의 몸
둘러 입는 음악
참고 문헌
찾아보기
저자 소개
김호경
듣고, 쓴다. 음악을 위한 글을 쓴다. 클래식 음악 전문 기자로 일하며 다수의 매체에 글을 썼고, 연세대학교 커뮤니케이션대학원에서 미디어를 통해 음악을 경험하는 사람들을 연구했다. 현대 감상 환경에서의 클래식 음악 세계를 그린 에세이 『아무튼, 클래식』을 썼다. 김윤아 「나인 너에게」, 투모로우바이투게더(TXT) 「Your Light」, 하성운 「Think of You」, 승희(오마이걸) 「Dear My Nights」 등의 가사를 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