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들어가며 / 김성희
1 변화를 위한 질문: 페스티벌 봄
사회 안에서 예술의 역할 / 프리 레이선
오늘을 멀리 보기, 미래를 가까이 보기 / 김성희
질문들 / 김성희
‘다원예술’의 재명명 혹은 재발명 / 김남수
“그 자체로 가치 있는 엘리트란 없다. 사회에서 예술은 불편한 대위법이 되어야 한다.” / 프리 레이선, 쿤스텐페스티발데자르 임직원 일동
안무적 사물 / 윌리엄 포사이스
우리는 왜 움직이는가? / 서현석
연극의 ‘전문가들’이 말하는 리미니 프로토콜 / 게랄트 지크문트, 플로리안 말자허, 옌스 로젤트, 미리암 드라이세, 한스티스 레만
이메일들 2009~2010 / 제롬 벨
프리 레이선을 위한 찬사 / 로메오 카스텔루치
페봄 키드 / 고주영, 구자하, 서영란, 정진새
2 아시아를 다시 보기: 국립아시아문화전당 예술극장
이제는 아시아가 서로를 바라볼 때 / 김성희
전 지구에 공명하는 고래의 노래 / 김남수
아시아의 눈, 역사와 사회를 향한 삐딱한 응시 / 이경미
지도 그리기와 호랑이, 그리고 연극성 / 다키구치 켄, 호추니엔
열병의 방 / 사사키 아츠시, 아피찻퐁 위라세타꾼
아시아라는 세계 / 마티아스 릴리엔탈
아시아의 동시대 공연예술, 그 씨앗 / 야마구치 마키코
도깨비의 탄생 / 마크 테
월경과 혼재 / 요우미
응시, 투영, 신화 / 헬리 미나르티
「해변의 아인슈타인」에 관한 시공간의 단상들 / 서현석
3 사유하는 공동체: 국립현대미술관 다원예술
21세기 매트릭스 그 안에서 예술하기 / 이경미
동쪽의 새로운 흐름! / 마리 소르비에
황혼과 여명 사이에서 / 서현석
왜 / 김지선
파제, 스티브 라이히 음악에 대한 네 가지 움직임 / 아너 테레사 더케이르스마커르
풍경 앞에서 사라지는 가능성들 / 엘 콘데 데 토레필
역사의 서사에 누락된 각주 달기 / 남선우, 로이스 응
석화된 현실에서 경험된 초현실로 / 장크리스토프 브리앙숑
미술관에서 공동체를 재발명하는 것이 대체 가능하기는 한 걸까? / 최승희
현혹의 사회적 맥락이여, 당신의 눈동자에 건배! / 르네 폴레슈
4 불가능을 상상하기: 옵/신 페스티벌
축제라는 항해, 그리고 우리 앞에 떠오른 것들 / 김신우
장(場)에서 벗어난, 춤을 지운 춤 / 이경미
필요 / 마텐 스팽베르크
리얼 픽션 / 빅토리아 페레즈 로요
단단하지 않은 공간 / 카린 할트, 메테 에드바르센
예술과 노동 / 보야나 쿤스트
언제나 당신을 사랑할 거예요 / 마텐 스팽베르크
우리의 몸은 우리가 실제로 가진 전부다 / 엘 콘데 데 토레필
‘지금 아님-여기 아님’을 향한 연극 / 오카다 도시키
다원이라는 질문들, 단상들, 그리고 문장들 / 성용희
실재하는 달-두꺼비가 사는 상상의 정원 / 임고은
바닥에서 황혼까지 / 허명진
페스티벌의 알파벳 / 팀 에철스
나가며 / 프리 레이선
부록
다원예술 아카이브
저역자 소개
책소개
우리가 공유한 시간
‘다원예술’은 우리 시대의 예술을 둘러싼 특징적인 용어 중 하나로 자리매김했다. 온갖 정의를 벗어나고 어디에도 해당하지 않으면서 공연장에서, 미술관에서, 또 다른 장소에서 ‘불가능’에 대한 질문을 던져 온 움직임과 태도는 해를 거듭하며 국내 예술계에 꾸준히 영향을 끼쳐 왔다. 특히 지난 20년간 페스티벌이라는 장치를 기반으로 삼아 한국 다원예술의 독보적인 흐름과 지형을 만들어 온 행사들이 있다. ‘다원예술 축제’를 표방했던 페스티벌 봄(2007~2013), 국립아시아문화전당 예술극장의 공연들(2013~2016), 국립현대미술관의 다원예술 프로젝트(2017~2018), 그리고 2023년 현재까지 열리고 있는 옵/신 페스티벌(2020~ ). 『우리가 공유하는 시간』은 이 행사들을 이끌어 온 기획자 김성희가 그동안 함께한 동료 예술가들의 글들을 새롭게 엮은 책이다.
다원예술이 도전해 온 궤적을 다시금 반추해 보는 이 책은 국내 주요 페스티벌의 흐름을 따르면서 시간이 지난 지금 이 행사들이, 작품들이 던졌고 자아냈던 질문들을 총체적으로 살핀다. 전 세계의 혁신적인 예술가들을 국내 무대에 적극적으로 초청하며 동시대 예술의 간극을 좁히고자 했던 페스티벌 봄은 포스트드라마 시어터, 농당스, 장소 기반, 수행성, 관계 미학 등 예술의 새로운 관점을 소개하면서 이곳의 새로운 태도와 방법, 시스템을 구축하고자 했다. 광주의 국립아시아문화전당 예술극장에서는 서구 유럽 중심의 관점에서 벗어나 ‘아시아’를 전략적으로 조망하고 재발견했다. 국립현대미술관 다원예술 프로젝트는 아시아 동시대 예술에 대한 관심을 이어 가는 한편 연간 프로그램을 통해 미술관과 공동체의 새로운 확장 가능성을 살폈다. 그리고 현재 옵/신 페스티벌은 자본주의라는 위기를 벗어날 수 있는 예술의 가능성과 자율성을, 나아가 지속 가능성을 탐색하는 중이다. 질문들과 함께 시작된 작품과 행사는 많은 것들을 이루어 나갔지만 여전히 질문들과 함께한 채이기도 하다. 그간의 성과에 만족해 버리는 대신 지나온 자취를 더듬으면서 남아 있거나 새로 발생해 있는 질문들을 다시 마주하는 것이 다원예술의 태도에 어울리는 선택일 것이다.
책의 구성은 여러 페스티벌에 다양한 입장으로 참여해 온 작가, 비평가, 기획자, 스태프, 관객의 에세이와 리뷰, 인터뷰, 대담, 서신, 설문, 대본 등 다채로운 형식의 글들로 이루어졌다. 페스티벌의 역사와 직접 관련된 경우뿐만 아니라 흐름상 느슨히 연관되거나 지향점으로서 함께 살펴 나갈 필요가 있다고 여겨지는 글들도 새롭게 수록했다.
우리가 공유할 시간
이 책의 제목은 벨기에 국제 예술 축제 쿤스텐페스티발데자르의 예술 감독이었고 2014년 에라스뮈스상을 수상했으며 2020년 작고한 프리 레이선의 말, “우리가 공유하는 시간(The Time We Share)”에서 비롯되었다. 엮은이 김성희는 서두에서 제목에 대해 다음과 같이 밝힌다. “‘우리가 공유하는 시간’은 쿤스텐페스티발데자르의 프리 레이선 예술 감독이 ‘동시대 예술’을 유럽 중심적인 지리적 발상에서 벗어나 모든 지구인들이 능동적으로 예술의 역사 쓰기에 동참하는 시간적 발상으로 재정립하면서 즐겨 썼던 표현으로, 이를 이 책의 제목으로 삼은 것은 우리의 지난 20년 역시 이러한 국제적 노력의 중요한 일부였음을 공표하는 것이기도 하다. ‘우리가 공유하는 시간’은 정신 그 자체다.”(13쪽)
동시대 예술이 동시대 예술이 되기 위해서는 작품을 둘러싼 조건과 상황이 적합하게 조성되어야 한다. “한 공연의 미학은, 작품을 고르고 지지하며 그 작품을 시공간 안에 위치시키고 필요한 지원을 통해 실현시키는 예술 감독의 윤리 없이는 무의미합니다.”(62쪽)라고 단언하는 작가 로메오 카스텔루치의 말은 그동안 우리의 시공간에서 펼쳐진 예술 작품들의 배경을 알려 준다. 나아가 사회 안에서 예술이 어떠한 역할을 해야 하는지, 오늘날 예술 축제는 어떠한 지향점을 가져야 할지, 예술 공동체란 과연 무엇인지, 예술가들이 어떻게 ‘덜 하기’와 ‘불일치’라는 자율적인 상태에 다다를 수 있을지, 어떻게 ‘진짜 문제’에 닿을 수 있을지, 『우리가 공유하는 시간』은 앞으로 우리가 공유하게 될 수 있을 시간을 향한 길을 여러 갈래로 열어 둔다. 그리고 이 모든 질문의 전제는 다시 우리에게 있다. “스스로를 의심하고 부정하는 것을 두려워하지 않는 것이야말로 동시대 예술이 우리에게 전하는 정신이자 태도이다.”(14쪽)
—옵/신 페스티벌 2023(10월 31일~11월 26일)
“올해 옵/신 페스티벌은 20~21세기 예술사를 변화시킨 가장 중요한 예술적 관점과 형식들을 한데 모아 회고전을 개최한다. 페스티벌 봄, 국립아시아문화전당 예술극장, 국립현대미술관 다원예술 프로그램을 거쳐 옵/신 페스티벌에 이르기까지 기획의 궤적을 되돌아보며 예술계의 지형 변화를 이어 나가기 위한 신념을 미래에 대한 희망으로 전환하려는 염원을 담는다. 지난 20여 년 동안 공연예술의 가장 과감한 확장을 시도해 온 예술가들에 경의를 표하는 자리이기도 하다.”(옵/신 페스티벌 웹 사이트 소개 글, http://obscenefestival.com/festival)
목차
들어가며 / 김성희
1 변화를 위한 질문: 페스티벌 봄
사회 안에서 예술의 역할 / 프리 레이선
오늘을 멀리 보기, 미래를 가까이 보기 / 김성희
질문들 / 김성희
‘다원예술’의 재명명 혹은 재발명 / 김남수
“그 자체로 가치 있는 엘리트란 없다. 사회에서 예술은 불편한 대위법이 되어야 한다.” / 프리 레이선, 쿤스텐페스티발데자르 임직원 일동
안무적 사물 / 윌리엄 포사이스
우리는 왜 움직이는가? / 서현석
연극의 ‘전문가들’이 말하는 리미니 프로토콜 / 게랄트 지크문트, 플로리안 말자허, 옌스 로젤트, 미리암 드라이세, 한스티스 레만
이메일들 2009~2010 / 제롬 벨
프리 레이선을 위한 찬사 / 로메오 카스텔루치
페봄 키드 / 고주영, 구자하, 서영란, 정진새
2 아시아를 다시 보기: 국립아시아문화전당 예술극장
이제는 아시아가 서로를 바라볼 때 / 김성희
전 지구에 공명하는 고래의 노래 / 김남수
아시아의 눈, 역사와 사회를 향한 삐딱한 응시 / 이경미
지도 그리기와 호랑이, 그리고 연극성 / 다키구치 켄, 호추니엔
열병의 방 / 사사키 아츠시, 아피찻퐁 위라세타꾼
아시아라는 세계 / 마티아스 릴리엔탈
아시아의 동시대 공연예술, 그 씨앗 / 야마구치 마키코
도깨비의 탄생 / 마크 테
월경과 혼재 / 요우미
응시, 투영, 신화 / 헬리 미나르티
「해변의 아인슈타인」에 관한 시공간의 단상들 / 서현석
3 사유하는 공동체: 국립현대미술관 다원예술
21세기 매트릭스 그 안에서 예술하기 / 이경미
동쪽의 새로운 흐름! / 마리 소르비에
황혼과 여명 사이에서 / 서현석
왜 / 김지선
파제, 스티브 라이히 음악에 대한 네 가지 움직임 / 아너 테레사 더케이르스마커르
풍경 앞에서 사라지는 가능성들 / 엘 콘데 데 토레필
역사의 서사에 누락된 각주 달기 / 남선우, 로이스 응
석화된 현실에서 경험된 초현실로 / 장크리스토프 브리앙숑
미술관에서 공동체를 재발명하는 것이 대체 가능하기는 한 걸까? / 최승희
현혹의 사회적 맥락이여, 당신의 눈동자에 건배! / 르네 폴레슈
4 불가능을 상상하기: 옵/신 페스티벌
축제라는 항해, 그리고 우리 앞에 떠오른 것들 / 김신우
장(場)에서 벗어난, 춤을 지운 춤 / 이경미
필요 / 마텐 스팽베르크
리얼 픽션 / 빅토리아 페레즈 로요
단단하지 않은 공간 / 카린 할트, 메테 에드바르센
예술과 노동 / 보야나 쿤스트
언제나 당신을 사랑할 거예요 / 마텐 스팽베르크
우리의 몸은 우리가 실제로 가진 전부다 / 엘 콘데 데 토레필
‘지금 아님-여기 아님’을 향한 연극 / 오카다 도시키
다원이라는 질문들, 단상들, 그리고 문장들 / 성용희
실재하는 달-두꺼비가 사는 상상의 정원 / 임고은
바닥에서 황혼까지 / 허명진
페스티벌의 알파벳 / 팀 에철스
나가며 / 프리 레이선
부록
다원예술 아카이브
저역자 소개
책소개
우리가 공유한 시간
‘다원예술’은 우리 시대의 예술을 둘러싼 특징적인 용어 중 하나로 자리매김했다. 온갖 정의를 벗어나고 어디에도 해당하지 않으면서 공연장에서, 미술관에서, 또 다른 장소에서 ‘불가능’에 대한 질문을 던져 온 움직임과 태도는 해를 거듭하며 국내 예술계에 꾸준히 영향을 끼쳐 왔다. 특히 지난 20년간 페스티벌이라는 장치를 기반으로 삼아 한국 다원예술의 독보적인 흐름과 지형을 만들어 온 행사들이 있다. ‘다원예술 축제’를 표방했던 페스티벌 봄(2007~2013), 국립아시아문화전당 예술극장의 공연들(2013~2016), 국립현대미술관의 다원예술 프로젝트(2017~2018), 그리고 2023년 현재까지 열리고 있는 옵/신 페스티벌(2020~ ). 『우리가 공유하는 시간』은 이 행사들을 이끌어 온 기획자 김성희가 그동안 함께한 동료 예술가들의 글들을 새롭게 엮은 책이다.
다원예술이 도전해 온 궤적을 다시금 반추해 보는 이 책은 국내 주요 페스티벌의 흐름을 따르면서 시간이 지난 지금 이 행사들이, 작품들이 던졌고 자아냈던 질문들을 총체적으로 살핀다. 전 세계의 혁신적인 예술가들을 국내 무대에 적극적으로 초청하며 동시대 예술의 간극을 좁히고자 했던 페스티벌 봄은 포스트드라마 시어터, 농당스, 장소 기반, 수행성, 관계 미학 등 예술의 새로운 관점을 소개하면서 이곳의 새로운 태도와 방법, 시스템을 구축하고자 했다. 광주의 국립아시아문화전당 예술극장에서는 서구 유럽 중심의 관점에서 벗어나 ‘아시아’를 전략적으로 조망하고 재발견했다. 국립현대미술관 다원예술 프로젝트는 아시아 동시대 예술에 대한 관심을 이어 가는 한편 연간 프로그램을 통해 미술관과 공동체의 새로운 확장 가능성을 살폈다. 그리고 현재 옵/신 페스티벌은 자본주의라는 위기를 벗어날 수 있는 예술의 가능성과 자율성을, 나아가 지속 가능성을 탐색하는 중이다. 질문들과 함께 시작된 작품과 행사는 많은 것들을 이루어 나갔지만 여전히 질문들과 함께한 채이기도 하다. 그간의 성과에 만족해 버리는 대신 지나온 자취를 더듬으면서 남아 있거나 새로 발생해 있는 질문들을 다시 마주하는 것이 다원예술의 태도에 어울리는 선택일 것이다.
책의 구성은 여러 페스티벌에 다양한 입장으로 참여해 온 작가, 비평가, 기획자, 스태프, 관객의 에세이와 리뷰, 인터뷰, 대담, 서신, 설문, 대본 등 다채로운 형식의 글들로 이루어졌다. 페스티벌의 역사와 직접 관련된 경우뿐만 아니라 흐름상 느슨히 연관되거나 지향점으로서 함께 살펴 나갈 필요가 있다고 여겨지는 글들도 새롭게 수록했다.
우리가 공유할 시간
이 책의 제목은 벨기에 국제 예술 축제 쿤스텐페스티발데자르의 예술 감독이었고 2014년 에라스뮈스상을 수상했으며 2020년 작고한 프리 레이선의 말, “우리가 공유하는 시간(The Time We Share)”에서 비롯되었다. 엮은이 김성희는 서두에서 제목에 대해 다음과 같이 밝힌다. “‘우리가 공유하는 시간’은 쿤스텐페스티발데자르의 프리 레이선 예술 감독이 ‘동시대 예술’을 유럽 중심적인 지리적 발상에서 벗어나 모든 지구인들이 능동적으로 예술의 역사 쓰기에 동참하는 시간적 발상으로 재정립하면서 즐겨 썼던 표현으로, 이를 이 책의 제목으로 삼은 것은 우리의 지난 20년 역시 이러한 국제적 노력의 중요한 일부였음을 공표하는 것이기도 하다. ‘우리가 공유하는 시간’은 정신 그 자체다.”(13쪽)
동시대 예술이 동시대 예술이 되기 위해서는 작품을 둘러싼 조건과 상황이 적합하게 조성되어야 한다. “한 공연의 미학은, 작품을 고르고 지지하며 그 작품을 시공간 안에 위치시키고 필요한 지원을 통해 실현시키는 예술 감독의 윤리 없이는 무의미합니다.”(62쪽)라고 단언하는 작가 로메오 카스텔루치의 말은 그동안 우리의 시공간에서 펼쳐진 예술 작품들의 배경을 알려 준다. 나아가 사회 안에서 예술이 어떠한 역할을 해야 하는지, 오늘날 예술 축제는 어떠한 지향점을 가져야 할지, 예술 공동체란 과연 무엇인지, 예술가들이 어떻게 ‘덜 하기’와 ‘불일치’라는 자율적인 상태에 다다를 수 있을지, 어떻게 ‘진짜 문제’에 닿을 수 있을지, 『우리가 공유하는 시간』은 앞으로 우리가 공유하게 될 수 있을 시간을 향한 길을 여러 갈래로 열어 둔다. 그리고 이 모든 질문의 전제는 다시 우리에게 있다. “스스로를 의심하고 부정하는 것을 두려워하지 않는 것이야말로 동시대 예술이 우리에게 전하는 정신이자 태도이다.”(14쪽)
—옵/신 페스티벌 2023(10월 31일~11월 26일)
“올해 옵/신 페스티벌은 20~21세기 예술사를 변화시킨 가장 중요한 예술적 관점과 형식들을 한데 모아 회고전을 개최한다. 페스티벌 봄, 국립아시아문화전당 예술극장, 국립현대미술관 다원예술 프로그램을 거쳐 옵/신 페스티벌에 이르기까지 기획의 궤적을 되돌아보며 예술계의 지형 변화를 이어 나가기 위한 신념을 미래에 대한 희망으로 전환하려는 염원을 담는다. 지난 20여 년 동안 공연예술의 가장 과감한 확장을 시도해 온 예술가들에 경의를 표하는 자리이기도 하다.”(옵/신 페스티벌 웹 사이트 소개 글, http://obscenefestival.com/festiv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