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니콜라 부리오 (지은이)
정은영, 김일지 (옮긴이)
현실문화A
2022-02-07
224쪽
120*165mm
ISBN : 9788965642732
“진보 정치란 배제된 사람들을 중시하는 것이 아니라면 무엇이겠는가? 정신분석학자는 억압된 것을 탐구하는 의학자가 아니라면 누구란 말인가? 끝으로, 예술가란 가장 역겨운 폐기물을 포함한 모든 것이 미적 가치를 지닐 수 있다고 믿는 자가 아니면 누구이겠는가?”
쓰레기와 폐기물의 시대에
아방가르드를 소환하다
『엑스폼』의 저자 니콜라 부리오는 프랑스의 저명한 미술비평가이자 큐레이터로, 그동안 ‘관계미학’ ‘포스트프로덕션’ ‘얼터모더니즘’ ‘래디컨트’ 등의 비평 용어로 1990년대 이후의 동시대 미술을 분석해왔다. 이 책 역시 전작들과 마찬가지로 ‘엑스폼’이라는 비평적 개념어로 90년대 이후 미술의 새로운 지향과 제작 방식을 논하고 있다. 전작들과 다른 점이라면 “좀 더 근본적인 수준에서 비평의 이론적 토대와 예술의 실천 전망을 담고 있다”(163쪽)는 점이다. 특히 눈길을 끄는 점은, 저자 스스로도 밝히고 있지만, 20세기 사유에서 다소 특이한 인물이라 할 수 있는 이데올로기 이론가 루이 알튀세르를 소환하고 있다는 점이다. 저자는 “알튀세르를 다시 읽게 되면 우리는 미술과 정치 사이의 복합적인 관계를 새로운 눈으로 바라볼 수”(17쪽) 있다고 말한다. 아방가르드의 전망 혹은 미적인 것과 정치적인 것의 유기적인 관계를 줄곧 모색해온 저자는 무의식에 대한 알튀세르의 급진적인 해석에 주목해 동시대의 정치적 미술을 위한 이론을 제안한다.
형식, 형태를 의미하는 ‘form’에 이탈, 분리를 뜻하는 접두어 ‘ex-’가 덧붙은 엑스폼(exform)은 특정한 형식이나 형태를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어떤 것을 떨어져 나가게 하는 정치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분류 작동이나 그렇게 떨어져 나온 것들이 존재하는 영역을 뜻한다. 부리오에 따르면, 오늘날의 글로벌 자본주의는 엑스폼이 출현하는 환경이자 엑스폼을 걸러내는 체계라 할 수 있는바, 일차적으로 그것은 상품과 물건이 과도하게 넘쳐나는 세계에서 떨어져 나온 쓰레기와 폐기물이며, 나아가 쓰레기와 폐기물처럼 무가치하고 쓸모없는 것으로 여겨지는 모든 사회적 존재가 속한 영역이다. 오늘날 거대한 규모로 커지고 있는 영역을 가리키기 위해 은유적으로 쓰인 ‘쓰레기’ 혹은 ‘폐기물’이라는 말은 “비생산적이거나 수익성이 없는 것들의 망령에 시달리는 세계”(8쪽)를 지칭하는 것으로, 현대판 프롤레타리아라 할 수 있는 실업자, 각종 난민 및 이민자, 불법체류자, 노숙자 등을 비롯해, “대중문화, 불결한 것과 부도덕한 것들이 뒤죽박죽 쌓인 배제된 구역” 등 “차마 눈뜨고 볼 수 없는 것들의 무가치한 총체”(10쪽)라 할 수 있다. 엑스폼은 이처럼 의미 있는 것과 의미 없는 것, 포함과 배제, “버려진 것과 인정된 것, 상품과 쓰레기 사이 경계에서 협상이 펼쳐지는 현장”이자 “반체제와 권력 사이를 부유하며 중심과 주변을 뒤바꾸는 기호”(11쪽)이기도 하다.
물론 엑스폼이 동시대만의 현상인 것은 아니다. 자본주의, 산업혁명, 제국주의적 식민주의가 본격적으로 개시되던 19세기 이래로 다양한 수준에서 폐기물을 걸러내는 분류 메커니즘인 배제의 역학이 본격적으로 작동하기 시작했다. 역사적으로 정치와 예술의 아방가르드는 이 배제된 사람들이 권력을 잡도록 돕는 것을 자신의 임무로 삼아왔다. 말하자면 자본이 억압해온 것을 자본화하고, 쓰레기로 취급된 것을 재활용하여 새로운 에너지의 원천으로 만들고자 했던 것이다. 부리오에게 정치적 미술이란 “불량품을 걸러내는 사회적 분류 작동을 거부”하고 “권력 장치가 배제의 체계와 그 폐기물(물질적이든 비물질적이든)에 씌워놓은 이데올로기의 베일을 걷어 올리는”(11쪽) 미술이다. 저자는 이처럼 사회가 내세운 위계질서와 배제 장치에 깔려 있는 전제에 의문을 제기하며, 그 가면을 벗기기 위한 방도를 모색하기 위한 투쟁의 핵심적인 장(場)이 바로 이데올로기, 정신분석학, 역사, 미술이라고 주장한다.
『엑스폼』은 소책자 형식을 취하고 있지만 사유의 스케일이 작지 않고 그 의미 또한 적지 않다. 발터 벤야민이 묘사한 ‘거대역사의 넝마주이’, 바타유의 이종학(heterology), 알튀세르의 이데올로기 테제, 문화연구의 프로그램, 19세기의 쿠르베와 마네에서부터 피에르 위그, 리엄 길릭에 이르는 동시대 작가들의 예술 실천들을 종횡으로 넘나드는 『엑스폼』은 글로벌 자본주의 시대의 미술과 정치, 이데올로기와 실천, 역사와 현재 사이의 복합적인 관계를 새로운 눈으로 바라보게 할 것이다.
저자소개
1990년대 이후 동시대 미술 현장에서 비평 담론을 이끌어온 세계적인 큐레이터이자 영향력 있는 비평가다. 글로벌 자본주의 체제 속에서 동시대 미술이 감행하는 창조적 표류와 기호항해를 얼터모더니즘, 마이크로유토피아, 래디컨트 등의 개념으로 이론화하면서 베니스비엔날레(1990), 테이트트리엔날레(2009), 이스탄불비엔날레(2019) 등 다수의 국제전을 기획했다. 현재 라파나세 현대예술센터와 몽펠리에 고등미술학교 및 몽펠리에 현대미술관을 아우르는 몽펠리에 콩탕포헹(MoCo)의 디렉터를 맡고 있다. 프랑스 현대미술 잡지 『예술비평』을 창간하고 디렉터(1992~2000)로 활동하였으며, 팔레 드 도쿄의 공동 설립 관장(1999~2006)과 런던 테이트 브리튼의 현대미술 큐레이터(2007~2010)로 재직했다. 『엑스폼』(2015)을 비롯한 주요 저서 『관계미학』(1998), 『포스트프로덕션』(2001), 『래디컨트』(2009) 등은 동시대 미술의 역동적인 장과 혼성적인 형식을 비판적으로 분석한 중요 텍스트로 평가받고 있다.
“진보 정치란 배제된 사람들을 중시하는 것이 아니라면 무엇이겠는가? 정신분석학자는 억압된 것을 탐구하는 의학자가 아니라면 누구란 말인가? 끝으로, 예술가란 가장 역겨운 폐기물을 포함한 모든 것이 미적 가치를 지닐 수 있다고 믿는 자가 아니면 누구이겠는가?”
쓰레기와 폐기물의 시대에
아방가르드를 소환하다
『엑스폼』의 저자 니콜라 부리오는 프랑스의 저명한 미술비평가이자 큐레이터로, 그동안 ‘관계미학’ ‘포스트프로덕션’ ‘얼터모더니즘’ ‘래디컨트’ 등의 비평 용어로 1990년대 이후의 동시대 미술을 분석해왔다. 이 책 역시 전작들과 마찬가지로 ‘엑스폼’이라는 비평적 개념어로 90년대 이후 미술의 새로운 지향과 제작 방식을 논하고 있다. 전작들과 다른 점이라면 “좀 더 근본적인 수준에서 비평의 이론적 토대와 예술의 실천 전망을 담고 있다”(163쪽)는 점이다. 특히 눈길을 끄는 점은, 저자 스스로도 밝히고 있지만, 20세기 사유에서 다소 특이한 인물이라 할 수 있는 이데올로기 이론가 루이 알튀세르를 소환하고 있다는 점이다. 저자는 “알튀세르를 다시 읽게 되면 우리는 미술과 정치 사이의 복합적인 관계를 새로운 눈으로 바라볼 수”(17쪽) 있다고 말한다. 아방가르드의 전망 혹은 미적인 것과 정치적인 것의 유기적인 관계를 줄곧 모색해온 저자는 무의식에 대한 알튀세르의 급진적인 해석에 주목해 동시대의 정치적 미술을 위한 이론을 제안한다.
형식, 형태를 의미하는 ‘form’에 이탈, 분리를 뜻하는 접두어 ‘ex-’가 덧붙은 엑스폼(exform)은 특정한 형식이나 형태를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어떤 것을 떨어져 나가게 하는 정치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분류 작동이나 그렇게 떨어져 나온 것들이 존재하는 영역을 뜻한다. 부리오에 따르면, 오늘날의 글로벌 자본주의는 엑스폼이 출현하는 환경이자 엑스폼을 걸러내는 체계라 할 수 있는바, 일차적으로 그것은 상품과 물건이 과도하게 넘쳐나는 세계에서 떨어져 나온 쓰레기와 폐기물이며, 나아가 쓰레기와 폐기물처럼 무가치하고 쓸모없는 것으로 여겨지는 모든 사회적 존재가 속한 영역이다. 오늘날 거대한 규모로 커지고 있는 영역을 가리키기 위해 은유적으로 쓰인 ‘쓰레기’ 혹은 ‘폐기물’이라는 말은 “비생산적이거나 수익성이 없는 것들의 망령에 시달리는 세계”(8쪽)를 지칭하는 것으로, 현대판 프롤레타리아라 할 수 있는 실업자, 각종 난민 및 이민자, 불법체류자, 노숙자 등을 비롯해, “대중문화, 불결한 것과 부도덕한 것들이 뒤죽박죽 쌓인 배제된 구역” 등 “차마 눈뜨고 볼 수 없는 것들의 무가치한 총체”(10쪽)라 할 수 있다. 엑스폼은 이처럼 의미 있는 것과 의미 없는 것, 포함과 배제, “버려진 것과 인정된 것, 상품과 쓰레기 사이 경계에서 협상이 펼쳐지는 현장”이자 “반체제와 권력 사이를 부유하며 중심과 주변을 뒤바꾸는 기호”(11쪽)이기도 하다.
물론 엑스폼이 동시대만의 현상인 것은 아니다. 자본주의, 산업혁명, 제국주의적 식민주의가 본격적으로 개시되던 19세기 이래로 다양한 수준에서 폐기물을 걸러내는 분류 메커니즘인 배제의 역학이 본격적으로 작동하기 시작했다. 역사적으로 정치와 예술의 아방가르드는 이 배제된 사람들이 권력을 잡도록 돕는 것을 자신의 임무로 삼아왔다. 말하자면 자본이 억압해온 것을 자본화하고, 쓰레기로 취급된 것을 재활용하여 새로운 에너지의 원천으로 만들고자 했던 것이다. 부리오에게 정치적 미술이란 “불량품을 걸러내는 사회적 분류 작동을 거부”하고 “권력 장치가 배제의 체계와 그 폐기물(물질적이든 비물질적이든)에 씌워놓은 이데올로기의 베일을 걷어 올리는”(11쪽) 미술이다. 저자는 이처럼 사회가 내세운 위계질서와 배제 장치에 깔려 있는 전제에 의문을 제기하며, 그 가면을 벗기기 위한 방도를 모색하기 위한 투쟁의 핵심적인 장(場)이 바로 이데올로기, 정신분석학, 역사, 미술이라고 주장한다.
『엑스폼』은 소책자 형식을 취하고 있지만 사유의 스케일이 작지 않고 그 의미 또한 적지 않다. 발터 벤야민이 묘사한 ‘거대역사의 넝마주이’, 바타유의 이종학(heterology), 알튀세르의 이데올로기 테제, 문화연구의 프로그램, 19세기의 쿠르베와 마네에서부터 피에르 위그, 리엄 길릭에 이르는 동시대 작가들의 예술 실천들을 종횡으로 넘나드는 『엑스폼』은 글로벌 자본주의 시대의 미술과 정치, 이데올로기와 실천, 역사와 현재 사이의 복합적인 관계를 새로운 눈으로 바라보게 할 것이다.
저자소개
1990년대 이후 동시대 미술 현장에서 비평 담론을 이끌어온 세계적인 큐레이터이자 영향력 있는 비평가다. 글로벌 자본주의 체제 속에서 동시대 미술이 감행하는 창조적 표류와 기호항해를 얼터모더니즘, 마이크로유토피아, 래디컨트 등의 개념으로 이론화하면서 베니스비엔날레(1990), 테이트트리엔날레(2009), 이스탄불비엔날레(2019) 등 다수의 국제전을 기획했다. 현재 라파나세 현대예술센터와 몽펠리에 고등미술학교 및 몽펠리에 현대미술관을 아우르는 몽펠리에 콩탕포헹(MoCo)의 디렉터를 맡고 있다. 프랑스 현대미술 잡지 『예술비평』을 창간하고 디렉터(1992~2000)로 활동하였으며, 팔레 드 도쿄의 공동 설립 관장(1999~2006)과 런던 테이트 브리튼의 현대미술 큐레이터(2007~2010)로 재직했다. 『엑스폼』(2015)을 비롯한 주요 저서 『관계미학』(1998), 『포스트프로덕션』(2001), 『래디컨트』(2009) 등은 동시대 미술의 역동적인 장과 혼성적인 형식을 비판적으로 분석한 중요 텍스트로 평가받고 있다.